페이지로 이동하기 W여성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대표전화 032.451.0000

w여성병원

처음으로

전체메뉴

페이지로 이동하기
게시물 작성 테이블

조기진통, 분만 전 조산 신호일수도 [W여성병원 정해련원장]

2021-09-28 hit.473






 

[메디컬투데이 김준수 기자]


임신 37주 전에 진통을 겪는 것을 조기진통이라고 한다.

이 경우 반드시 병원 진료 및 치료를 받아 보아야 하는데,

신생아 사망에 있어 가장 큰 원인이 되는 것이 바로 조산이기 때문이다.

조기진통은 조산의 가능성이 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조사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37주 이전 조기진통으로 말미암은 산모를 분석한 결과,

산모 1000명당 조기진통 진료 인원은 2010년 39.4명에서 2014년에는

77.5명으로 연평균 18.4%씩 증가했다.

연령에 따른 인원 차이가 없어 전 연령대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37주 전에 시작되는 규칙적 진통을 조기진통으로 보고 있다.

증상은 일반적으로 복통, 요통을 동반하며,

규칙적인 배 뭉침이 느껴지고 공기 압력감, 심한 생리통 등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만약 자궁이 1센티미터 이상 열려 있다면 조산 위험도 크다.


조산의 원인으로는 자연적 조기 진통, 양막 파수,

임신부 및 태아의 내과적 내지는 산과적 적응증 세 가지로 구분이 가능하며,

기타로는 임신시 출혈과 유전적 요인, 임신부 생활 습관, 감염, 자궁 기형 등이 있다.


아직까지 조산 예방이나 치료에 대한 확실한 방법은 없다.

원인에 해당하는 요소가 있다면 그에 걸맞은 치료를 미루지 않아야 하며,

충분한 휴식 및 영양 섭취로 태아를 뱃속에서 많이 키우도록 해야 한다.

또한, 자궁 경부의 컨디션을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하며 이상이 발견됐을 땐

적절하게 조치를 취해주어야 한다.

특히 과거 유산이나 조산을 했던 경험이 있는

산모라면 자궁 경부 확인을 더욱 자주 해주는 것이 좋다.


현재 치료 방법은 임신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이며,

양막 파수가 있는 경우 출산 전 시간을 늘려주기 위해 항생제 투여를 시행한다.

24~32주 사이라면 태아 폐 성숙을 돕기 위한 스테로이드 치료를 병행하게 된다.

양막 파수가 없다면 주수에 따른 폐성숙 스테로이드 치료를 병행하며

이 역시 출산 지연이 1차 목표이다.


인천 W여성병원 정해련 원장

“규칙적 진통이 있어도 양막 파수가 없는 경우

자궁경부에 변화가 없거나 있어도

2cm이 넘지 않는 정도의 개대는 직접적인 출산의 위험이 적은 편이므로

적절한 치료 및 안정으로 만삭에 건강한 출산을 할 수 있다.

막연한 걱정보다는 변화 있는 증상에 대한

적절한 상담과 진료가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메디컬투데이 김준수 기자(junsoo@mdtoday.co.kr)


[ 출처: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430718 ]

 



다음다음글 # W여성병원 특수분만 성공을 축하합니다♥
이전이전글 #10월 산부인과/소아청소년센터 진료 안내
  • 목록